본문 바로가기

연금저축과 IRP2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으려면 '연금저축 VS 개인형IRP' 어디가 좋을까? 정년퇴직을 앞둔 직장인들이 많이 궁금해하는 것이,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고 싶은데 연금저축계좌와 개인형 IRP계좌 중 어디에 퇴직금을 넣어야 할까이다.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받지 않고 연금방식으로 받는 것이 절세 측면에서 좋다는 것은 알겠는데, 어떤 연금계좌에서 받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설명해 보겠다. 퇴직연금 종류 먼저 체크하고 출발 고용노동부 담당업무인 퇴직연금은 DC형, DB형, 개인형IRP 이렇게 3가지 종류가 있다. 퇴직연금제도가 시행되는 기업의 근로자는 DC, DB중에서 선택할 수 있고, 개인이 별도로 가입하는 퇴직연금은 개인형 IRP라고 부른다. 우선 퇴직 당시 나이부터 확인해야! 1. 최근 법이 바뀌어서 55세 이전에 퇴직하면 무조건 회사에서는 퇴직금을 IRP에 입금해야 한다. 일시금으로 지급.. 2024. 2. 17.
노후준비 연금저축 1편 "연금저축 뜻과 용어정리" 10년 투자자가 답하다! 목돈은 내가 지켜야 하는 돈이고, 연금은 평생 나를 지켜주는 돈입니다. 노후준비 끝판왕으로 어떤 금융상품도 감히 따라올 수 없는 것이 연금저축입니다. 1편으로 연금저축의 뜻과 헷갈리는 용어부터 먼저 정리하고 2편, 3편으로 가보겠습니다. 연금저축의 뜻 국민들의 노후생활보장을 위해 일정한 세제혜택을 주면서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하도록 만들어 놓은 저축계좌를 말합니다. 금융회사마다 상품이름은 조금씩 다를수는 있지만 상품이름에 "연금저축"이라는 4음절이 반드시 들어 있는 것만이 연금저축이라고 보시면 정확합니다. 예를 들어 "연금저축보험"은 연금저축이지만, "연금보험"은 연금저축 상품이 아닙니다. 보험사에서 보장성을 가미해서 판매하는 보험입니다.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연간 1,800만원까지의 연금저축 한..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