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민연금과 세금2

은퇴후 연금 받으면 5월에 종합소득세 내야 하나? 연금소득은 대개 국민연금과 사적연금 두 가지로 나누는데, 연금으로 생활하는 은퇴자도 5월에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할까?결론은 연금소득이 있다고 5월에 종합소득세를 내는 것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자.  1. 공적연금인 국민연금 소득만 있는 경우가입자가 공단에 노령연금 수령 신청을 할 때 '연금소득자 소득세액공제 신고서'라는 것을 작성해서 낸다.공단은 이를 바바탕으로 소득세를 산출해서 연금 지급 시 세금을 뗀다.노령연금에만 세금을 떼고 장애연금이나 유족연금에는 세금을 매기지 않는다.노령연금 이외에 다른 추가 소득이 없다면 이것으로 과세는 끝이 난다.  2. 공적연금인 국민연금 말고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이자배당 소득이 2,000만원 미만이거나, 사적연금 소득이 1,500만 원만 있다면 연금.. 2024. 6. 5.
국민연금과 사적연금 받을 때 세금은? simple 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연금공단에서 지급해 주는 국민연금과 개인적으로 납부한 사적연금(연금저축, IRP)을 받을 때에, 세금을 내야 하는지 의외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 simple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국민연금 받을 때 세금은? (결론) 세금 냅니다. 다만, 내가 별도로 세금을 계산해서 내는 것은 아니고, 공단에서 간이세액표에 따라 세금을 떼고 남는 금액을 입금해 줍니다. 낸 세금은 연말정산을 통해 정확한 세액을 확정한 다음, 결과에 따라 다음 해 1월 연금액에 반영하는 방식이니 내가 별도로 납부할 필요 없습니다. (과세가 되는 대상은?) 2002년 1월 이후부터 납입한 국민연금만 세금이 부과 되고, 그 이전에 납부한 국민연금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2002년 1월 이후부터 납부한 연금보험료는 연말정산으.. 2024. 3. 8.